여기에서 지적해야 할 점은, 내가 일본 만주군 출신인 박정희의 이념과 이상을 단순히 일제 어용 이데올로기의 '아류'나 '복제물'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푸코가 제시한 '계보'의 개념은 위계질서적인 의미의 '베끼기-재현'이 아니다. 푸코는 차후의 또다른 변형과 잠재적 재생 가능성을 보유한 '원형'의 독자적인 '화현'을 현실 변화의 주요 원칙으로 본다. 예를 들어서 전통시대의 오가작통과 일제시대의 애국반 이라는 계보를 지닌 북한의 인민반과 남한의 반상회의 다양한 변천을 보면 '아류'개념의 지나친 단순성을 절감할수 있다. -p.39

... 남에게 정신적인 가르침을 줄 수 있으려면 그 남과 일단 생각의 범위가 달라야 하고, 자신만의 독보적인 정신생활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개성' 과 '개인주의'를 표어롤 내세우는 그들의 생각은 사실 놀랍게도 천편일률적이다. - p.59

...제도에 대한 불신 못지 않게 대인관계에서 드러나는 근원적인 경계의 자세가 나를 매우 놀라게 하였다. 대인관계에 대한 보편적인 전제는 "모든 사람이 타인과 관계하는 이유가 본인 이득의 극대화" 라는 '삼국지'를 생각하게 하는 '생활의 지혜'였다(동양 고전을 일반적으로 많이 망각한 한국에서, '삼국지'가 유독 인기가 많은 이유가 여기에도 있지 않을까) 따라서 소위 삼연이 닿지 않거나 특별한 '결속감 구축 의례'를 거치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서 처음부터 무조건 남에 대해 친절하고 이타적인 자세를 갖추는 것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았다. 오히려 중세 유럽 혼란기의 무장된 기사들이 초면 인사를 했던 것처럼, 상대방의 나이와 신분, 사회 관계망, 숨은 의도들을 조심스럽게 파악한 뒤에 이에 따라서 친절과 협조의 정도를 맞추는 것이 통례였던것 같다. 대(對) 사회, 대인관계의 근본 전제인 신뢰가 심하게 결여된 이러한 사회를 '위험사회(risk society)'라고 명명하는 학자도 있지만, '불신사회'가 더 적합하지 않나 싶다. - p.171

우리가 말로 표현하지 않는, 또는 표현하지 못하는 것은 우리에게 존재하지도 않는다. 반대로 일단 표현체계가 잡히면, 우리는 그 표현 대상물의 존재를 별로 의심하지 않는다. '민족사' 책이 서점과 학생들의 머리를 가득 채우고 나면, 불변하는 '민족'이 주체가 된 단선적인 '국사'의 존재를 의심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을 것이다. 애석하게도 우리는 탈출할줄도 모르는 언어의 포로들이다. 그러나 조금이나마 일상 언어의 늪을 벗어나라면, 한 가지 아주 좋고 간단한 방법이 있다. 바로 무슨 일을 접하든 그 이면을 생각하는 것이다. 역사에서 이것은 양쪽의 고통을 아울러 생각해서 자기 고통으로 알라는 것을 의미한다... - p.218

--
박노자의 인터뷰 : http://blog.aladdin.co.kr/pop/30597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