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루스트는 한번은 친교를 독서에 비유하였다. 왜냐하면 두 가지 활동 모두 타자와의 교류를 수반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독서에 결정적인 우위가 있다고 덧붙였다.

독서에서 친교는 갑자기 그 본래적인 순수성을 회복한다. 책에는 거짓 상냥함이 없다. 우리가 이 친구들과 저녁을 함께 보낸다면 그것은 우리가 진실로 그러고 싶기 때문이다.

인생에서는, 초대를 거절하면 소중한 우정이 앞으로 잘못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에서 저녁식사를 함께 하는 경우가 흔하다. 우리는 친구의 정당하지 않지만 회피할 수 없는 예민한 감정을 알고 있기 때문에 억지로 위선적인 식사를 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책에 대해서는 얼마나 더 솔직해질 수 있는가? 독서할 때는 적어도 우리가 원할 대만 책으로 시선을 돌릴 수 있고, 지루한 표정을 지을 수도 있으며, 필요할때 대화를 중단할수도 있다
- p174

이것은, 무언가가 물리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 결코 그것에 주목할 수 있는 이상적인 상황은 아님을 제시한다. 사실 존재란 바로 우리가 그것을 무시하고 간과하게 만드는 요소일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시각적 접촉만으로 모든일을 다 했다고 느낄 것이기 때문이다.
- p224

평생을 문학에 몰두한 사람으로서 프루스트는 책을 너무 진지하게 생각할 때 생기는 위험들, 아니 책을 물신적으로 숭배하는 태도를 취할 때 생기는 위험들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그러한 물신 숭배적 태도는 겉으로는 책에 대해 존경을 표하는것 같지만 실제로는 문예창작의 정신을 희화화화는것이다. 다른 사람들이 쓴 책과 건전한 관계를 맺고 싶으면, 그것들이 주는 이익만큼이나 그것들의 한계도 이해해야한다.
- p237

그는 "자신이 무엇을 느끼고 있는가를 깨닫기 위해서는 대가가 느꼈던 것을 자신 속에 다시 그려 보려고 하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없기" 때문에 독서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 p244

그러므로 우리는 조심스럽게 책을 읽고 책이 우리에게 주는 통찰을 환영해야 하지만, 우리의 독립성을 포기하거나 그 과정에서 우리 자신의 연애생활이 가지는 미묘함을 은폐해서는 안된다.
- p249

(독서를) 학문 분과로 만드는 것은 단지 '자극'에 불과한 것에 너무 큰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다. 독서는 정신적 삶의 문턱 위에 있다. 그것은 우리를 정신적 삶으로 인도할 수 있지만, 정신적 삶을 구성하지는 않는다.

심지어 가장 훌륭한 책들조차도 결국에는 내팽개쳐야만 하게 마련이다.
- p270 마지막 장.

---
프루스트의 독서의 견해는 (혹은 알랭드보통의 그것은) 무섭도록 나와 일치하며. 깊은 공감을 느끼게 한다.

'1.보다 > 1.1 책. 그리고, 밑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6.07  (0) 2010.06.05
10.05.06  (4) 2010.05.06
국경의남쪽 태양의서쪽 - 무라카미 하루키  (2) 2010.04.11




토큰 구경한것도 꽤 오랜만.!




여긴 칸마다 문이 없어요 +_+) 사람 없을때는 끝까지 보일듯..!

'1.보다 > 1.3 파편적기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 이사함.  (2) 2010.06.25
광화문 cafe in~  (0) 2010.04.12
경륜장-?!  (4) 2010.03.12

싸이월드 오에카키로 그린그림-

'2.쓰다 > 2.2 습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_+)  (5) 2010.06.07
달!  (0) 2010.01.03
단상  (4) 2009.01.12

사다리 걷어차기 - 장하준
우리에게 지금 필요한것은 - 안철수
신도 버린사람들 - 나렌드라 자다브
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 - 알렝 드 보통
세상의 바보들에게 웃으면서 화내는 방법 - 움베르트 에코
너는 어느쪽이냐고 묻는 말들에 대하여 - 김훈
박사가 사랑한 수식 - 오가와 요쿄
거꾸로 읽는 세계사 - 유시민
나쁜 사마리아인들 - 장하준


아웅.. +_+)

'3.듣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드 / 베란다 프로젝트  (0) 2010.07.06
페퍼톤즈 다녀옴.  (0) 2010.03.09
페퍼톤즈3집, 장미비파레몬 - 에쿠니 가오리  (0) 2009.12.23


아 -_- 흑백필름 꼽아놓은거 깜박함...
필름도 400 인데 날씨는 완전 화창해주시고...
이럴땐 답이 없군여..ㅠ

AGFA APX ISO 400

'1.보다 > 1.2 Canon AE-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가본 이화동 11th  (0) 2010.09.12
9th_cafe  (0) 2009.12.15
8.6th_지인  (0) 2009.02.18

'1.보다 > 1.3 파편적기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지하철-!  (4) 2010.05.16
경륜장-?!  (4) 2010.03.12
오라클 세미나중...  (4) 2010.03.09
"저 하지메 씨. 잘들어요" 하고 한참 후에 시마모토가 말했다. "이건 아주 중요한 일이니까. 잘 들으세요. 아까도 말한 것처럼, 내게는 중간이라는 게 존재하지 않아요. 내안에 중간적인 것은 존재하지 않고, 중간적인 것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는, 중간 또한 존재하지 않아요. 그러니까 당신은 나의 전부를 취하든지. 아니면 취하지 않든지. 그 어느 쪽 길밖에 없어요. 그것이 기본적인 원칙이에요. 만약에 당신이 지금 이대로의 상황을 지속시켜도 상관없다면, 그럴수는 있어요. 언제까지 계속될 수 있을지는 나도 모르겠지만, 나는 그것을 지속시키기 위해서 가능한 일은 다 하겠어요. 나는 당신을 만나러 올 수 있을때에는 만나러 와요. 그러기 위해서는 나도 나 나름의 노력을 하지 않으면 안되요. 하지만 만나러 올 수 없을때에는, 올 수 없어요. 언제라도 내가 그러고 싶을때 만나러 올 수는 없어요. 그것은 아주 확실해요. 그렇지만 만약 당신이 그런것은 싫다, 두번 다시 내가 어디로 가는 것을 윈치 않는다고 한다면, 당신은 내 전부를 취해야만 해요. 나를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전부. 내가 질질 끌고 있는것이나. 내가 껴안고 있는것도 전부. 그리고 나도 아마 당신의 모든것을 취할거에요. 전부요. 당신은 그걸 알아요? 그게 무얼 의미하는지도 알고 있는 거에요?"

p215-216
--

개가 없는곳에는 개집이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개밥이라던가 개샴푸같은것도.
"중간적인 것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는, 중간 또한 존재하지 않아요."라는 말.

나는 나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던 한 여자아이에게 위와 비슷한 말을 한적이 있었다. 그때 그 아이에겐 어떻게 전달이 되었는지는 모르지만. 뭐. 내가 말주변이 좀 없긴하다... 나는 나 나름대로의 설명을 한것 같았고. 아마 저 대사와 비슷한 냄새를 풍기려 애썼을게다. 아마도.
그리고 그 아이는 한참을 생각하고 듣고 있다가. 나에게 한 마디 말을 해주었다.
그 말은 나를 반성하게 했고, 그 말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솔직히 지금도 위와 같은 생각 전부를 떨쳐낸거 같진 않다. 하지만. 삶이란 어느 중간단계를 반드시 거쳐야 하는것이고, - 특히 좋아하는 사람과에 관계에선 말이다. - 내가 생각하던 극단적인 취함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것도. 이제는 조금 알것같기도 하다. 하지만. 난 여전히 무섭고 두렵다. 그래서 그런생각들을 하게 된다.

개가 없어도 개집은 살수 있고, 피아노가 없어도 스코어는 살수 있고,
특정된 누군가를 사랑하지는 않더라도 마음은 항상 조금은 열어둘수 있는것.
그런것들이 필요한걸까.

"그러니까 당신은 나의 전부를 취하든지. 아니면 취하지 않든지."

무서운 말이다. 하지만 여전히. 나는 원하고 있는 것같다.
"전부 아니면 완전이 비어있는것을" 말이다.

'1.보다 > 1.1 책. 그리고, 밑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5.06  (4) 2010.05.06
10.04.02  (3) 2010.04.03
2010.03.13  (0) 2010.03.13
http://www.nsquaresoft.com/life/index.php


아 개명해야되나 ..-_-..ㅋ

'4.꿈꾸다 > 4.1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Purification  (0) 2010.07.05
자폐증 지수  (4) 2010.02.03
독서취향 테스트  (2) 2010.01.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