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인도 좋다, 하지만 솔로도 좋다.
 
당신은 이성관계에 있어서 상당한 통찰력이 있습니다. 그리고 스스로를 자제하는 능력도 있구요. 그래서 당신이 호감을 가지는 이성이나 당신에게 프로포즈해 오는 이성이 어떤 스타일인지 바로 파악합니다. 그리고, 연인관계보다 친구관계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며, 차라리 솔로를 즐기기도 합니다. 대신 사귀는 이성이 바람을 피더라도 혼자서 눈물을 삼키는 연애를 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애인과 함께 극장에서 키스나 섹스 장면이 나오면 창피해 하지만, 몰래 혼자서 보는 스타일입니다.


뭐..뭐지 이건..; 이곳에서 해보실수 있음 =)

'4.꿈꾸다 > 4.1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릭터 : 원숭이  (2) 2009.11.14
희재  (0) 2009.09.01
Gustave Doré  (6) 2009.04.15

'4.꿈꾸다 > 4.1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애심리 테스트  (2) 2009.09.12
Gustave Doré  (6) 2009.04.15
.....  (48) 2009.04.09

bae@junan.kr

'2.쓰다 > 2.1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망  (0) 2009.09.16
기억해야 하는날.  (14) 2009.05.29
잡솔  (4) 2009.05.28


.
.
.

여러분은 저를 버리셔야 합니다.




'2.쓰다 > 2.1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hi, bye  (10) 2009.07.02
잡솔  (4) 2009.05.28
끄적  (2) 2009.04.30
1. 오지은의 노래를 듣다가 듣다가 듣다가 듣다가 보면, 난 사랑같은건 정말 하지 못할꺼라는 생각이 든다. 오늘은 생각을 뛰어넘어 어떠한 용단을 하게 만들었다. 내 삶이 너무 유동적이고 피상적이여서 그런걸까. 하나의 구심점을 만들어 낼수 없다는건 사람을 꽤나 우울하게 만든다. 여전히 난 누구에게나 그저 그런사람으로 인식되고, 지나가고 잊혀진다. 몸서리칠만큼 싫지만, 할수 없다. 예전엔 감정들이 물리적인 반응일꺼라 생각했는데, 이젠. 아니다. 굳어진것은 돌이킬수 없고. 내 상처와 삶의 무늬들은 그저 그 자리에 있을뿐이다. 그 어떤것으로도 돌아갈 수 없는 하나의 나라는건 스물 여섯이 되어서야 그 갈피를 잡았다. 돌아갈수 없다.는것.

2. 아 나도 좀 너같은 애들 싫다. 괜히 자의식 과잉인거야? 왜 내가 너를 좋아하지 않으면 안되는거지? 물론 너란 여자는 이쁘고 충분한 성적 매력도 있고(미안 너에게선 이거밖에 생각이 안난다.) 나란녀석은 그저 그런 비리비리한 놈이지만. 내가 보기엔 넌 그냥 그게 다.야. 적어도 나에겐. 그냥 네 싸구려 미소는 니 친구들한테 부탁해서 얻은 소개팅 남자에게 날려주렴..아니면 네 치맛자락아래 좀 보여주고 환심사던가. 그런 구질구질한 미소 보내고 나한테서 도대체 뭘 원하는거니. 응? 항상 내 삶에서 너란 인간이 중심이 되길 원하는거야? 언제 어디서든지 모든세계가 널 향해 도는거라 생각해? 진심으로? 아니 정말 궁금해서 물어보는 거거든. 어떻게 사람이 그럴수도 있는가 싶어서. 다 필요없구. 보면 마냥 짜증나서 말이지. 나에게 있어선 그런걸 제발 바라지는 말아줘. 배려도 마음이 맞아야 배려를 해주는거지. 젠장맞을.

3.
횽 블로그엔 그런거 없다.

4. 
 

여긴 어디? 나는 누구..?

4.1 내 첫 공중파는 초등학교때 미술실습을 경복궁에 나가서 그림 그리다가 메인뉴스 종료후 내일의 날씨 나오기전 짤막하게 나오는 (약 3초?) 의 아이켓치로 나온적이 있다. 그러니깐 생각을 해보면 아마도 1990년쯤.


5. 주말. 방배동을 빠져나와 올림픽 대로를 탔다. 앞에 흰색 오피러스차가 운전석쪽 앞바퀴 바람이 빠진채로 운전을 하다가 커브길에서 나랑 부딪칠뻔했다. 이대로 부딪치면 죽겠지. 라는 생각.

6.

Whale 보단 W라 왠지 안심했다. (웨일냥이 밉다거나 한건 아니에요-)

7. 비가왔다. 예전부터 비가오면 살짝 조증이 이는데. 무엇때문에 그런지는 잘 모르겠다.
언제부터인가 비가오면, 꼭꼭 숨겨져 있는 스위치가 내몸안에서 착- 하고 켜지는것처럼.
거의 불가항력적이다. 덕분에 비를 맞고 다녔다. 뽀송한 우산과 젖어있는 머리칼을 보면서
사람들은 이상하게 생각했을지도... 집에 와서 맥주한잔 하고 싶었지만, 피곤해서 쓰러져 잤다.

'2.쓰다 > 2.1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해야 하는날.  (14) 2009.05.29
끄적  (2) 2009.04.30
혼잣말.  (4) 2009.04.09

01234567

'1.보다 > 1.3 파편적기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  (0) 2009.09.13
4월 기억일부 5월 기억.  (2) 2009.05.10
4월 일부.  (10) 2009.04.27

'랜디, 난 모르겠어. 그런게 사무라이 야군가? 마치 투우장에서 던지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야. 그래. 또 하나 모르는 게 있어.'
'뭐야.리치.'
'저 팬들은 응원에 열중하곤, 시합 쪽은 별로 보고 있지 않은 것 같은데, 내 기우일까?'
'리치, 네 말대로야. 아무도 시합 같은 건 보고 있지 않아. 시합 경과는 집에 돌아가서 '프로야구뉴스'를 보면 알게돼. 모두 응원하러 나온거야.'


"그거야, 문제는." 한신 팬인 극작가는 깊은 고뇌에 찬 목소리로 중얼거렸다. "우리들 팬은 아무것도 몰랐어. 적어도, 밖에서 보고 있는 한, 모든게 잘 되어 가고 있는 듯이 보였어. 20년 만의 우승은 눈앞에 다가오고 있었지. 그렇지만 매직 넘버(역자주: 수위 팀이 우승하기 위해 필요한 승수)가 줄어들 때마다 그들의 스트레스는 늘어 갔어. 그리고 매직 넘버가 나머지 하나가 되었을때, 그들은 겨우 깨달았던 거야. 우리들이 하고 있는 것은 야구가 아니다. 확실히 야구를 많이 닮았고, 규칙은 거의 같고, 방망이나 글러브나 로진 백이나 통증을 가라 앉히는 스프레이를 쓰는 점도 공통되었고, 공의 크기나 재질에 이르러서는 완전히 똑같다고 해도 상관없어. 그러나 그건 야구가 아니었던거야."



 박민규보다 좀 더 해체적이고 정신없던 다카하시 겐이치로의 책이다. 야구가 사라진 시대의 이야기들은 얼개와 얼개가 이어지면서 이야기가 진행된다. 소설을 관통하는 하나의 이야기는 없다. 마치 조각조각 붙여놓고 보니 그것이 이것이었던가 하는정도의 알똥말똥함. 하지만 어떠한 하나의 현상.이라던가 가령 삶.에대해 이것은 이것이다라고 정의를 내리기보단. 이편이 훨씬 편하고 자세하고 단단하게 다가왔다. 작가가 힘을 쭉 빼고 쓴 글이라고 했다.
박민규라면. 과연-. 이라고 한마디 던지지 않았을까.

+ Recent posts